If they have not died, then they still live today
└ We Are All Strangers : Workshop
└ DE KWEKERIIJ(The Nursery)
└ Tempelhofer field OCT/15/2019
└ Like A Seed
└ Flora of Cha’s garden
└ 부코브에서 In Bukow
└ If they have not died, then they still live today
Ici, c’est mon potager
여기가 내 텃밭이다.
LEFTIE PRESS
If They Have Not Died, Then They Still Live Today : An Essay on Care(2022)
(...) 서로를 염려하며, 염려해야만 존재하는 그의 텃밭은 그래서 불완전하고 아름답다. 그의 텃밭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모두 그 염려 속에서 함께 일하고 수확한 재료들로 밥을 해먹는다. 그 시간 속에서 그들은 ‘우리’가 되고, 함께 밟고 서 있는 땅에 대해 질문한다. 하나의 식물이 씨앗을 틔우고, 땅에 뿌리를 내리며 자신의 자리를 찾아나가아는 것처럼 ‘우리’는 이 땅에서 살아가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맞서야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우리의 자리를, 우리의 언어를 찾아나서며 영역을 넓혀나간다. 서로의 따뜻한 염려 속에서 함께 살아나(아)갈 수 있는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어간다. (...)
- If They Have Not Died, Then They Still Live Today : An Essay on Care 중에서
Cha의 밭에는 아주 다양한 모양의 돌봄이 피고 지며 이어진다. 스스로를 사랑하고 긍정하기, 그리고 그 힘으로 다른 존재들을 존중하고 돌보게 되기. 주인과 이방인이라는 경계를 ‘주체적 돌봄’으로 허물며 살아온 삶을 발견하고, ‘돌봄’에 대한 동시대적 의미와 제안을 에세이 형태로 쓴 책이다. ‘주체적 돌봄’은 사회를 변형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행위이자 윤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로부터 연대 정치와 연대 경제가 이루어질 수 있지 않을까?
(...) Her garden, which only exists when concered and being concerned on each other, is thus imperfect and beautiful. In such concerns, all people who visit in her garden work, cook and eat together. Then they become ‘we’ and start to ask about the ground they are stepping on. Just as like a plant sprouts seeds and takes root in the ground and struggles with its rights to it, they start to discuss about what and how to confront in order to live on here, the ground. This is the way they cultivate their own words and expand their fields. They fertilize the ground to stand with their feet in each others’ concerns. (...)
- In If They Have Not Died, Then They Still Live Today : An Essay on Care
In Cha’s garden, diverse forms of care bloom and fade in continuous cycles. It is about loving and affirming oneself, and through that power, respecting and caring for others. This book, written in the form of essays, explores a life lived by dismantling the boundary between "host" and "stranger" through "autonomous care," while contemplating contemporary meanings and proposals for "care."
Could "autonomous care" be the most fundamental act and ethics capable of transforming society? And from this, could solidarity politics and solidarity economies emerge?